ESS용 LFP 전지, LG에너지솔루션의 선택은 옳았을까? 시장의 흐름과 생존 전략
안녕하세요? 복쿠맘입니다 😊
오늘은 LG에너지솔루션이 ESS용 LFP 전지로 방향을 튼 배경과 그 의미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전기차 배터리에서 시작된 흐름이 어떻게 ESS 시장까지 이어졌는지, 그리고 그 안에 숨겨진 산업의 변화와 생존 전략을 함께 살펴볼게요.

🔋 LG에너지솔루션, ESS 시장에 LFP 전지로 도전
LG에너지솔루션은 폴란드 국영전력공사 PGE와 계약을 맺고, 2026년부터 ESS용 LFP 전지를 공급할 예정이에요. 이 전지는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에서 생산되며, 기존 NCM 파우치 전지 생산 라인을 개조해 만들어집니다.
📉 왜 NCM 전지에서 LFP 전지로 바뀌었을까?
2017년부터 국내 ESS에서 화재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NCM 전지의 안전성 문제가 대두되었어요. 2024년에는 무려 99건의 화재 사고가 있었고, 수천억 원을 들인 대응도 효과가 없었습니다. 결국 ESS 시장에서는 가격과 안전성이 핵심이 되었고, LFP 전지가 대세로 떠오르게 된 거죠.
🌍 글로벌 경쟁: 중국 vs 한국
중국 업체들은 이미 $60/kWh 이하의 가격으로 LFP 전지를 공급하고 있고, CATL은 $50/kWh대 제품까지 개발 중이에요. 반면 한국 업체들은 아직 가격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북미와 유럽 시장을 겨냥해 가격 경쟁을 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유럽 전기차 시장의 고전과 공장 개조
LG에너지솔루션은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에 추월당한 이후, 폴란드와 헝가리 공장의 가동률이 떨어지면서 ESS용 전지 생산으로 방향을 틀게 되었어요. 2025년에는 한국 업체의 점유율이 35.6%까지 하락했고, 중국은 56.3%로 급등했습니다.
📦 과거의 전략과 현재의 전환
2000년대 중대형 전지 개발 당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LFP 전지 개발에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NCM 전지를 ESS에 적용했어요. 하지만 화재 사고가 반복되면서, 이제는 LFP 전지로의 전환이 불가피해졌습니다.
🔥 화재 사고와 산업의 책임
ESS 화재 사고에 대해 전지 업체와 정부는 “전지 문제가 아니다”라고 했지만, 현장에서는 불만이 커졌어요. 삼성SDI의 “화재는 성장통”이라는 발언은 한동안 회자되었고, 그 틈을 타 BYD와 CATL이 한국 시장에 진입해 세계 시장까지 장악하게 되었습니다.
💸 가격 경쟁의 현실과 생존 전략
ESS용 LFP 전지는 이미 충격적인 가격까지 내려갔고, 자칫하면 팔수록 손해가 나는 구조가 될 수도 있어요. 국내 전지 3사는 과잉 투자로 인해 감가상각비 부담도 크고, 가격 경쟁에서 불리한 상황입니다.
🗣️ 복쿠맘의 한마디
이제는‘만들면 팔린다’는 시대가 아니에요.
팔리는 전지를 만들기 위해선 시장의 흐름을 읽고, 고객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해요.
LG에너지솔루션의 선택이 생존을 위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앞으로 더 지켜봐야겠죠. 복쿠맘이었습니다 😊
📚 복쿠맘이 추천하는 연관 글
요즘은 ‘만들면 팔린다’는 시대가 아니라, 시장과 고객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살아남는 시대예요.
복쿠맘이 소개한 두 글을 함께 읽어보시면, 배터리 산업의 흐름이 더 선명하게 보이실 거예요 😊
📌 해시태그
#LG에너지솔루션 #ESS전지 #LFP배터리 #전기차배터리 #배터리화재 #CATL #BYD #복쿠맘리뷰 #배터리시장 #에너지저장장치
댓글
댓글 쓰기